한겨레 기사 내용입니다.
코멘트는 맨 아래에서.
<외고 유학반 성적표는 어떻게 부풀려지는가>
<How Korean FL high schools inflate their grades>
[한겨레] “미국 대학에 제출하는 내신성적은 모두 올 에이(All A)다. 미국 기준에서 보면 비윤리적으로 대학에 들어가는 것과 다름없다.”
[The Hankyoreh] “Every transcript sent to American universities have all As. By American standards, it is a corrupt method to get into a school.”
최근 한 유학업계 관계자가 <한겨레21>에 두툼한 문건을 들고 찾아왔다. 그가 들고 온 것은 2000년대 중반 한 외국어고가 미국 대학들에 보낸 입학 관련 서류. 영문으로 번역된 여러 학생의 성적표에 기재된 수십 개의 과목은 모두 A로 도배돼 있었다.
Recently, a study-abroad industry agent brought an extensive document to The Hankyoreh. The papers were the application forms that an FL high school submitted to American universities in 2000. In the English-translated version, every student had straight As on their transcripts.
학교와 학부모가 성적 기준을 협의?
Did the school and the parents make an agreement over the grading scales?
어떻게 이럴 수 있을까. 그의 설명은 “일부 고교가 법적으로 규정된 한국 성적표와 다른 양식의 성적표를 만들어 미국에 제출한다”는 것이었다. <한겨레21>은 이러한 관행이 일반화된 것인지, 유학반이 설치된 외국어고를 중심으로 여러 경로를 통해 영문 성적표를 입수하기 시작했다.
How could this happen? The agent explained, “some high schools submit transcripts that do not follow the transcript regulations in Korea.” The Hankyoreh decided to find out whether such fabrications were a common pratice, and started an investigation of FL high schools by collecting the English-version transcripts they sent to American universities.
그러던 중 취재진은 서울 강동구 한영외고의 1학년 유학반 학부모들 사이에 오간 메일들을 보게 됐다. 주로 OSP(유학반) 6기 운영위원회(학부모회)의 운영위원 송아무개씨가 일부 학부모들에게 보낸 메일들이었다. 송씨는 4월27일 ‘학부모 결의서 검토 바랍니다’라는 제목으로 14명의 1학년 학부모에게 메일을 보냈다. 그는 “토요일(29일) 저녁 강남•서초•송파•강북 학부모 모임에서 채택 여부를 결정할 학부모 결의서”라며 “수정 의견을 알려달라”고 했다. ‘한영 OSP 학부모들의 결의서’라는 이름의 이 결의서는 △원반 수업(정규 수업) 비중을 종전 4, 5기(2~3학년) 수준으로 감축하고 영어와 AP(미국 대학과목 학점 선이수 제도) 수업 시간을 대폭 늘려야 한다 △학교는 CMS 계좌이체 방식으로 (유학반) 강사료를 징수하려는 시도를 중단하고, 학부모들이 자율적으로 강사료를 징수해 강사들에게 지급하는 것을 허용해야 한다는 등의 요구 사항을 담고 있다.
Soon after the investigation started, the reporters found e-mails that were exchanged between the parents of Hanyoung FL high school students. Most of the e-mails were written by Ms. Song, the administrator of the Parents&Students Association of the OSP (Overseas Study Program, a specialized class for students planning to apply to foreign universities) class. On April 27th, Ms. Song sent an e-mail with the title “please review the parents’s resolution” to fourteen other parents. In the e-mail, she said, “this is the resolution we will discuss on Saturday in a meeting with parents from Kangnam/Seocho/Songpa/Kangbuk districts of Seoul” and asked if other parents had any comments. The resolution, called “The resolution of OSP parents,” included the following demands to the Hanyoung FL high school: △The regular curriculum (the curriculum that all Korean high school students must take in order to obtain a high school diploma) of the 1st grade students must be shortened so the school can put more e emphasis on AP classes and English education △ The school must stop the attempts to collect money by electronic transfers and let the parents voluntarily collect money to pay the instructors.
4월29일 서울 강남구 타워팰리스 연회장에서 열린 1학년 학부모 모임에선 이와 같은 일부 학부모들의 ‘결의’ 내용이 설명됐다. 당시 학부모 모임에 참석한 한 학부모는 “송씨 등 운영위원들이 결의서와 같은 내용을 주장했다”며 “이 같은 내용을 5월3일 학교장에게 요구하겠다며 학부모들로부터 서명을 받았다”고 말했다.
At the PSA meeting held in April 29th, these articles or the ‘resolution’ were presented to other parents. One parent at the meeting said, “Ms. Song and other PSA administrators drafted the resolution.” She also added, “they already obtained the signatures of parents and will make their demands to the principal of on May 3rd.”
5월3일 학부모와 학교장은 모임을 가졌다. 무슨 말이 오갔을까. 송씨가 7월2일 운영위원들을 대표해 9명의 학부모에게 보낸 메일을 보면, 학교로부터 다음과 같은 약속을 받았다고 밝히고 있다. △GPA(미국 대학 제출용 내신성적)에 관해 미국 대학 입시에 꼭 필요한 일부 과목만 A•B•C로 표시하고 나머지는 Pass/Fail로 표시하되, 어떤 과목을 그렇게 할 수 있는지는 ○○○ 선생님의 자문을 받아 정하도록 하겠다 △수행평가만 완수해도 60점을 부여하고, 시험성적을 포함해 70점이 되면 A가 되도록 하겠으며, 수행평가 역시 수업시간 내에 완료할 수 있는 분량으로 실시하도록 하겠다 △원반(정규) 수업은 가급적 오전에 배치하고 오후에 영어를 집중 배치하며, 영어수업과 AP수업을 강화하겠다….
The parents and the principal met on May 3rd. What could they have discussed? According to the e-mail Ms. Song sent to 9 other parents on July 2nd, the school promised to make following changes to their curriculum and grading standards: △ On the transcripts sent to American universities, the letter grades (A/B/C) will be replaced by Pass/Fail grades for all courses except the core curriculum credits required for college application. △ Any student who completes his PAs (Performance Assessment: homework, projects) will automatically receive 60% of the grades, and any grades over a 70% will be given an A. In addition, the PA would be short enough to be finished in-class. △ The regular curriculum will be moved to the morning, and the afternoon class hours will be used to teach more English and AP classes…
국문과 영문 성적표의 내용 달라
The discrepancy between Korean and English versions of transcripts
하지만 당시 유학반 관리를 담당했던 부장교사는 이에 반대한 것으로 전해진다. 메일은 이렇게 전한다. “지난 6월8일 운영위원회에서 국제부장님은 ‘영문성적증명서 성적등급 부여 규정 변경안’을 제시하고, 종전에 50~70점 미만은 A-, 70점 이상이면 모두 A를 주던 것을 70점 이상은 A-, 80점 이상은 A, 90점 이상은 A+를 주는 것으로 등급을 변경할 계획임을 밝혔습니다.”
But the teacher of the OSP class disagreed. In, one of her e-mails, Ms. Song said: “At the last meeting on June 8th, the teacher of OSP class proposed a ‘new grading scale for English transcripts,’” which changed the previous scale (50~70%=A-, 70% and up=A) to a higher scale (70~80%=A-, 80~90%=A, 90% and up=A+),
송씨의 메일에 따르면 국제부장이 이를 반대한 이유는 “A등급이 너무 많아” 조정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송씨 등 일부 학부모들의 시각은 달랐다. 이들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한영외고 성적표의 신뢰를 회복한답시고 A- 또는 B가 몇 개씩 들어 있는 성적표가 양산될 수 있도록 등급을 변경하는 것은 우리 학생들에게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을 들어 변경안에 반대했습니다.”
According to the e-mails, the teacher proposed a new grading scale because the current scale gave out “too many As” and the grading scales had to be adjusted. The parents, however, disagreed. They said, “letting Bs and A-s show up on the transcripts just to restore the credibility of the grades isn’t going to help our students, so we opposed the proposal.”
송씨는 “(결국) 70점 이상은 A를 주고 내신 우수자에게 A honor를 주기로 (학교와) 의견을 모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런 합의는 다시 파기된 것으로 보인다. 송씨는 “GPA 변경 문제는 토론 끝에 정리되고 결정된 사항”임에도 “6월24일 학부모 모임에서 다시 (학교 쪽에 의해) 등급 변경안이 제시되고 변경의 필요성이 역설되는 것을 보고 어안이 벙벙했다”고 적었다.
Ms. Song said, “we finally agreed on the new scale which gives an A to grades over 70% and an A honor to exceptional students,” but it seems like this agreement did not last long. “Although we had settled the matter in lengthy debates, the school brought up the GPA problem again on June 24th and argued the grading scales must be readjusted, which made me very upset,” Ms. Song wrote.
학교와 학부모가 내신 성적 산정 기준을 놓고 협의해도 되는 걸까. 한 학부모는 심지어 1학년 학부모들이 인터넷 카페에서 내신성적 산정 기준을 두고 투표까지 벌인 ‘희귀한 광경’이 연출됐다고 털어놨다. “70점 이상 A를 1번, 75점 이상 A를 2번, 80점 이상 A를 3번으로 하고 투표를 했어요. 나는 3번에 투표했는데… 1번이 과반수 득표를 했지요.”
Should schools and parents be allowed to make such agreements over grading scales? One parent recalls an occasion when the parents ‘voted’ on what the new scale should be. “There were three choices: #1 was for an A for grades over 70%, #2 for over 75%, and #3 over 80%. I voted for #3, but the majority went for #1.”
한영외고의 이런 소동은 외국어고 유학반의 내신성적이 어떤 방식으로 부풀려지는지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한영외고에서는 똑같은 시험을 치렀는데도, 국문 성적표와 영문 성적표의 내용이 다르다. 이를테면 70점을 받은 학생은 한국 대학에 보내는 국문 성적표에서는 ‘미’를 받지만, 미국 대학에 보내는 영문 성적표에선 A를 받는다.
The heated dispute over grades in Hanyoung FL high school is a glaring example of grade inflations in the Korean FL high schools. In Hanyoung, the Korean and English transcripts show different grades for the exact same test. A 70% on an exam, for example, is a ‘Mi’ (the Korean equivalent of ‘C’) on transcripts sent to Korean universities, but an ‘A’ on English transcripts sent to American universities.
취재진은 이에 대한 해명을 듣기 위해 11월20일 당사자인 장두수 전 교장과 통화했다. 그는 “나는 2005년부터 교장을 맡았고, 그동안 70점 이상에게 A를 주는 것은 관례였다”며 “학부모들의 요청에 따라 관례대로 한 것”이라고 대답했다. 그리고 등급 기준에 대해서는 “이전 성적관리위원회에서 결정한 문제”라며 “등급 변경안도 올라왔으나 성적관리위원회에서 통과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취재진은 한영외고에 성적관리위원회 회의록을 보여줄 것을 요청했으나, 한영외고는 공개할 수 없다고 대답했다.
To hear an explanation for such grade inflations, reporters called Chang Du Su, the ex-principal of Hanyoung FL high school. Over the phone, Mr.Chang said, “I was the principal since 2005, and it was a custom to give an A for over 70%.” He also added, “I merely conformed to the parents’s demands and followed the custom.” About the grading scales, he said: “It was decided by the Grades Administration Council. There were proposals for scale adjustments, but the council never passed them.” Reporters asked the Hanyoung FL school to disclose the proceedings of the council, and the school refused.
그렇다면 이런 ‘인플레이션 성적표’를 미국 대학에 보내는 건 과연 문제가 없을까. 교육부는 “절대 안 된다”고 말하고 있다. 장미숙 교육부 초중등교육정책과 연구사는 “모든 성적표는 ‘학교 생활기록부 작성 및 관리 지침’에 따라 작성돼야 하며, 교육부가 내놓은 영문 성적표 시안도 따로 마련돼 있다”며 “한국 성적표 표기 방식과 똑같이 번역돼 작성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성적관리위원회에서 70점 이상을 A로 주라고 결정했더라도, 이는 학교의 명백한 월권”이라고 지적했다. 영문 성적표라 하더라도, 성적표 양식이나 내신 성적 산정 기준을 학교 맘대로 바꾸면 안 된다는 얘기다.
Then is it okay to send transcripts with “inflated grades” to American universities?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says, “never.” Chang Mi Suk, an education policies researcher in the Ministry of Education, says: “all transcripts must be written in accordance to the ‘regulations for writing and managing school transcripts,’ and the government has issued a complete set of regulations for English transcripts. There should be no discrepancy between Korean and English transcripts, and the decision to give an A for all grades over 70% is a clear stretch of authority.” In other words, the individual schools cannot arbitrarily change its grading scales, regardless of the language the transcript is written in.
AP 과목 수강 성적도 수상해
AP courses grades are also suspicious
학부모 모임을 주도한 송씨는 11월24일 인터뷰에서 “유학에 밝은 학부모들이 다른 학교들도 다 그렇게 한다고 해서 학부모들을 대표해 학교장에게 요청한 것”이라며 “학교 쪽으로부터도 내신성적 기준은 학교에서 정하는 것이라는 말을 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A-, A, A+로 세분화하는 학교의 성적 등급 변경안에 대해서는 이렇게 말했다. “학교 쪽은 기존 시스템(70점 이상 A)은 ‘일부 우수한 학생들이 피해를 본다’고 말했습니다. 그 말은 일부 우수한 학생들의 피해를 구제하기 위해서 나머지 우수하지 않은 학생들은 피해를 봐야 한다는 거잖아요. 어떻게 이런 이유로 변경합니까?”
In an interview held on November 24th, Ms. Song said, “I’ve heard that all the other schools are doing the same. I represented the demands of other parents and made it clear to the principal. I heard from the administration that they can set the grading scales as they see it fit.” About the school’s suggestion of dividing the A grade into A-, A, and A+, she replied, “the school said that the current system (giving the same ‘A’s to all grades over 70%) “puts exceptional students at a disadvantage.” That means the unexceptional students should be sacrificed in order to let the exceptional ones have distinction. How can you accept that?”
교육부는 영문 성적증명서를 발급할 때 규정 양식을 따르도록 하고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성적표를 고교가 자체 작성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영문 성적표의 임의 수정을 금지하는 내용의 공문을 지속적으로 시•도교육청에 보냈다.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dictates that every English transcript must follow the official format and regulations. A government official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said, “high schools should not issue transcripts independently.” The Ministry of Education had continuously issued official documents forbidding arbitrary changes to the information on English transcripts.
교육부에 따르면, 영문 성적표는 과목 성적과 함께 석차 비율이 표시된 1~9등급으로 표기해야 한다. 3학년의 경우 수(Su•90~100점), 우(Wu•80~89점), 미(Mi•70~79저), 양(Yang•60~69점), 가(Ga•60점 이하)와 함께 학년 석차가 병기돼야 한다. 그러나 공문 발송뿐이었다. 공신력이 높아야 할 공교육 기관의 성적표가 임의 수정돼 미국의 유명 대학에 보내지는 사이 교육부는 몇 차례 공문을 보내는 것 외에 아무 일도 하지 않았다.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English transcripts must include the grades for each courses and the class standing of the student. For high school seniors, the transcripts must show the grades in one of the five letters—Su (90~100%), Wu (80~89%), Mi (70~79%), Yang (60~69%), Ga (60% and below)—and the class rank. The Ministry of Education, however, merely sent out the official documents and did nothing enforce the regulations, while the schools kept sending out transcripts with altered grades.
취재진은 또 경기 고양외고가 미국 대학에 지원하는 학생에겐 80점 이상에 A를 매긴 성적표를 발급하는 사실을 발견했다. 고양외고 관계자는 10월25일 취재진에게 이렇게 말했다. “학교 내규에 따라 80점 이상부터 A를 주고 있습니다. 성적 부풀리기가 아닙니다. 외국어고는 학생들이 우수하니까 그렇게 줄 수 있지 않습니까?”
The reporters also found out that the Goyang FL high school in Kyoungi-do, Korea, gave an A for any student who had grades over 80%. On October 25th, an official from Goyang said, “we follow our own regulation and give ‘A’s to grades over 80%. It is not a grade inflation. Since we have outstanding students in FL high schools, doesn’t it only make sense to give them better grades?”
11월22일 방문한 한영외고도 “70점을 A로 줘서 보낸다”고 떳떳이 말하고 있었다. 장 전 교장을 이어 교장직을 수행하고 있는 김종인 교장 대행은 “기존 방침을 갑자기 바꿀 순 없지 않느냐”며 “현재 미국 대학에 입학원서를 쓰고 있는 3학년은 70점 이상에 A를 줘서 보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취재진에게 “다른 학교도 알아보라. 이들도 한영외고와 똑같이 주고 있다”고 덧붙였다.
When the reporters visited the Hanyoung FL high school on November 22nd, the school officials also openly admitted that they “give ‘A’s for grades over 70%.” Kim Jong In, the current principal of the school, said, “we can’t change our policies so quickly. For the seniors applying to U.S. colleges, we’re giving an A for 70% and up.” He also told the reporters, “go and ask other schools. They’re also doing the same thing we’re doing here in Hanyoung.”
김 교장대행의 말대로 외국어고의 내신 부풀리기 관행은 상당수 외국어고에 퍼져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서울외고 김성태 교감은 “예전에는 영문 성적표 등에서 문제가 있었지만, 지난해 서울시교육청 감사 뒤 바로잡았다”고 말했다. 한 유학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내신 성적을 부풀려 미국 대학에 발송하는 건 공공연한 비밀”이라고 말했다.
Indeed, the grade inflation practices seem to be prevalent among many FL high schools. Kim Sung Tae, the vice principal of Seoul FL high school, said, “we had some problems with the English transcripts before, but we corrected them after we had inspections from the Seoul Office of Education.” One informant from the study-abroad industry said, “It’s a known secret that these schools inflate the grades they send to American universities.”
‘성적 부풀리기’가 없더라도 2학년, 3학년으로 학년이 높아질수록 정규수업에 제대로 참석조차 하지 않는 외국어고 유학반 학생들에게 한국에서의 정규교육을 ‘정상적’으로 이수했다는 증명서인 ‘성적표’를 버젓이 발급해주는 것은 근본적으로 되짚어봐야 할 문제다.
Even without grade inflations, it is still a serious problem that the schools issue transcripts, the certificate that the student successfully completed a formal education in Korea, to the OSP students who seldom show up in regular curriculum classes.
외국어고 유학반은 미국 대학 입시에 필요한 과목과 함께 AP 과목을 개설해 가르치기도 한다. AP 과목 수강 성적이 미국 대학 전형에 유리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학생들은 미국 대학에 지망할 때, 한국 성적표와 함께 미국 교육과정 과목과 AP 과목을 수강한 성적이 산출된 ‘유학반 성적표’를 함께 제출하기도 한다. 그러나 유학반 성적표도 고평가돼 있기는 마찬가지다. 한영외고 유학반 카운슬러 김아무개씨는 유학반 성적표에 대해 “각 과목 강사들이 기준을 정해 자율적으로 성적을 산출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 학교에서 올해 미국 대학에 지원하는 학생 가운데 유학반 성적표에 ‘C’를 받은 학생은 2명뿐이고, 나머지는 모두 전 과목에서 ‘A’와 ‘B’를 받았다고 밝혔다.
In addition to the core curriculum required for application to American universities, the FL high schools also offer AP classes to let the students have an extra edge in the application process. When the students apply to American universities, the schools issue a separate “OSP students transcript” which accounts for the weighted grades of AP classes. These OSP transcripts, however, are just as overrated as the regular ones. A counselor of the Hanyoung’s OSP class said, “the AP class teachers set their own grading scales to determine the grades.” He also told the reporters that, of all the students that applied to U.S. colleges this year, only two had any ‘C’s on their transcripts.
새로운 형태의 ‘대학 입시 애국주의’
A new form of “college admission patriotism”
하지만 한 외국어고의 학부모는 “유학반 성적표 또한 조작이 비일비재하다”고 말했다. 정규 성적표가 아닌 AP 성적표에서 수강하지도 않은 과목을 수강했다고 하거나, 미국 고교 과목이나 AP 성적을 임의로 올려준 적도 있다는 것이다. 결국 외국어고 유학반에서 미국 대학에 응시하는 학생들 상당수는 나란히 부풀려진 정규 성적표와 유학반 성적표를 미국 대학에 제출하고 있는 셈이다.
A parent of an FL high school student said, “the OSP transcripts are regularly fabricated.” In some cases, the OSP transcripts show credits for AP classes that the student had never taken, or the grade is raised by the school officials. As a result, many FL high school students submit two separate transcripts that are both inflated.
외국어고가 유학을 위해 쓰는 편법은 성적표 변경 외에도 다양하다. 서울시교육청이 지난 10월 실시한 서울 소재 5개 외국어고 유학반 운영 특별장학지도 결과를 보면, 서울•이화•한영외고는 AP 시험을 보는 학생들에게 공결 처리를 해주고, 심지어 중간고사를 면제해주기까지 했다.
Besides grade inflations, there are various other methods the FL high schools use to give unfair advantages to its OSP students. The students taking the AP exams, for example, are not only excused from their classes, but also entirely exempted from their midterm exams.
하지만 취재진이 취재 도중 일부 학부모나 교사들에게 접한 반응은 “아이들을 아이비리그 대학에 보내 국위선양하는데, 이 정도 편의는 줘야 하는 것 아니냐” “외국어고는 우수 학생들이 모인 집단이므로 내신성적에서 이점을 줘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는 새로운 형태의 ‘대학 입시 애국주의’라고 할 만했다. 주목할 점은 이런 대학 입시 애국주의가 한국 사회의 부유층에 만연해 있다는 것이다.
But when the reporters interviewed the parents and teachers of these students, some responded with comments like, “Since we do good for the country by sending our children to Ivies, aren’t we entitled to such special treatments?,” or, “The FL high school students deserve an advantage in GPA since they are smarter than regular high school students,” and these responses indicate that a new form of “college admission patriotism” is prevalent among the upper class in Korea.
현재 한국 ‘이너서클’의 대물림은 외국어고를 통해 이뤄진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이너서클의 일부 자녀들은 외국어고 유학반에서 ‘편법’으로 미국 대학으로 유학을 가고, 그들은 다시 한국을 짊어질 ‘엘리트’로 ‘금의환향’한다. 또한 그들에게 외국어고는 미국 대학으로 향하는 완벽한 디딤돌이며 더불어 명문고 인맥을 쌓는 네트워크 장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런 순환체계 속에서 교육의 가치는 실종된다.
Nowadays, the Korean FL high schools are used as a tool for the inheritance of privileged membership in the “inner circle” of the Korean upper class. The children of this “inner circle” attend FL high schools in the OSP classes, use ‘expedients’ to gain admission from American universities, and return to Korea as the ‘elite’ class, the prospective leaders of the nation. To them, the FL high schools provide not only an ideal pathway to U.S. colleges, but also a social arena in which they can form extensive network with their fellow ‘elites’ in the inner circle. In this cycle, the value of education is utterly lost.
교육부는 11월9일 유학반 편법 운영이 드러나면 법적•행정적 제재 등 강력한 조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교육부 관계자는 11월23일 “외국어고를 불시에 방문해 관련 실태조사를 벌이고, 영문 성적표도 문제점이 드러나면 행정 조처를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 11월23~24일 경기 과천과 성남에서 모인 전국외국어고 교장단도 이에 화답하듯 “유학반을 정규 외 수업 시간에 운영하는 등 교육 과정을 정상적으로 운영토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과연 이 약속은 지켜질 수 있을까. 수직으로 위계화된 학벌사회에서 서울대를 넘어 미국으로 향한 ‘교육열’이, 다만 한국의 교육제도에 대해 최소한의 예의를 갖춰주기를 바랄 뿐이다.
On November 9th, the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that it will employ firm measures if the OSP classes had been violating the Ministry’s regulations. On November 23rd, a government official said, “we will conduct surprise inspections at the FL high schools and will take administrative action if we find problems with the English transcripts.” As if in response, the principals announced at a national conference that “we will normalize our schools’ education by moving the OSP classes out of the regular curriculum” on November 23rd. Would they keep their word? We can only hope that they will have at least a marginal respect for the Korean education system while they seek a prestigious education abroad.
글•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 박주희 한겨레 온라인뉴스팀 기자 hope@hani.co.kr 사진 윤운식 기자 yws@hani.co.kr
Nam Jong Young Reporter fandg@hani.co.kr Park Ju Hee The Hankyoreh Online NewsTeam Reporter hope@hani.co.kr Photos Yoon Un Sik Reporter yws@hani.co.kr
‘성적 거품’이 생기는 이유
아이비리그가 원하는 내신성적을 위해선 정규수업 무시해야
Why the “grade bubbles” form
Students have to neglect formal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GPA Ivies want
대원외고 149명, 대일외고 46명, 한영외고 30명, 서울외고 23명, 이화외고 6명.
149 from Daewon FL high school, 46 from Daeil FL high school, 30 from Hanyoung FL high school, 23 from Seoul FL high school, 6 from Ewha FL high school.
지난 3년 동안 서울 소재 외국어고 유학반의 ‘유학 실적’이다(서울시교육청 국정감사 자료). 유학반이 정규 운영되지 않은 학교까지 합치면 실적은 더 많아진다. 사실 법적으로 규정한 제7차 교육과정을 ‘충실히’ 이행하면서 미국 명문대학에 입학하려면 대단한 천재가 아니라면 팔방미인형 노력가가 돼야 한다. 미국 유명 대학이 요구하는 게 그만큼 방대하기 때문이다.
These are the ‘statistics’ of the students who graduated from FL high schools and got admitted to American universities. If you include the schools that do not offer a separate OSP class, the numbers grow even larger. In reality, however, students have to be either a genius or extremely hard-working to ‘successfully’ complete the Korean high school education AND gain admission to top U.S. colleges, because the prestigious universities ask for a wide range of different qualifications.
일단 SAT와 SATⅡ의 고득점이 필요하다. 이외에 추가되는 것이 AP다. AP는 미국 대학 과목 선이수 제도로 고교에서 미리 대학 과목 강의를 듣는 것이다. 일부 외국어고 유학반은 자체적으로 수업을 개설해 평점을 주고 있다. 그리고 미국에서 주관하는 AP 시험도 친다. AP는 필수사항이 아니지만, 최대한 많은 시험성적과 서류를 들이대며 경쟁을 뚫어야 하는 학생 처지에선 AP 공부도 하게 마련이다. 학생들은 이런 수험 준비 외에도 다양한 과외활동에 참여해야 한다.
First, you have to get high scores in SAT reasoning and subject tests. In addition, you also need to take AP courses, the advanced placement classes which teach various subjects at college freshmen level. Some FL high schools offer AP classes and exams to their OSP students. Although AP courses are not required, they definitely help gaining admission in an ultra-competitive applicant pool. Besides these tests and classes, students also participate in various extracurricular activities.
내신성적도 매우 중요하다. 아이비리그에 입학하는 미국 학생들은 내신성적이 우수하다. 문제는 여기서 발생한다. 미국 고교생으로선 내신성적 공부가 곧 SAT 시험과 직결되지만, 한국 고교생에게는 그렇지 않다. 따라서 한국 학생들이 정작 정규수업을 무시하는 부작용이 생긴다. 서울에 있는 한 외국어고 유학반 학생은 “반에서 10명 정도는 지각을 하거나 (유학반 수업이 있는) 오후에 학교에 온다”고 말했다. 이 학생은 다른 학생들이 모의고사를 치르는 날, 혼자 교실에서 SAT 문제집과 씨름하고 있었다.
The students admitted to Ivies have excellent academic records, and GPA is also very important for a successful application. This, however, is a source of problem: unlike American high schools, which teach subjects directly relevant to SAT preparation, Korean high school courses are largely unrelated to SATs, which makes the Korean students neglect the regular school curriculum. A student in an OSP class of an FL high school in Seoul said, “about 10 students are late to school every day, and they often only attend the OSP classes in the afternoon.” When other students were busy taking exams, this student was solving SAT practice problems in an empty classroom.
외국어고 유학반은 그동안 비공식적으로 학부모들에 의해 운영되다가, 2005년부터 각 시•도 교육청 지침에 따라 학교가 관리하는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으로 전환됐다. 이에 따라 학부모와 학교의 유학반 통제권을 두고 여러 학교에서 마찰이 생기기도 했다. 김대용 대일외고 교감은 “유학반이 일부 학교의 교육과정에 문제를 일으킨 게 사실”이라며 “유학반 수요가 엄연히 있다면, 국공립 수준에서 시범학교를 운영해 모범을 보여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The OSP classes had been run unofficially by parents until 2005, when the Offices of Education took over and converted them into official after-school programs. As a result, parents and administrations struggled to gain control over the OSP classes. Kim Dae yong, the vice principal of Daeil FL highschool, said, “Although it is true that OSP created problems in some schools, there is an undeniable demand for the OSP classes, and I hope the government could show an example by running a public FL high school.”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
Nam Jong Young Reporter fandg@hani.co.kr
============================================
- 익히 알고는 있었지만, 그래도 한국인(특히 엄마) 특유의 저돌성은 대단.
(원칙이고 페어플레이고 없다.)
- 한국사람 누군가가 저 기사 내용를 (영어로 직접 번역해서) 자비로 외국 유수대학들에게
우편으로 보냈다니 감탄. 정의감의 발현인가 단순히 배가 아픈것인가,
그도 아니면 청년실업의 위력인가.
- 저런 틈바구니에서 나름 노력하고 있는 집사람&딸내미가 안쓰러울 뿐.
(오늘부터라도 투덜대지 말고 왕수학 채점이라도 잘 해 줘야 겠다.)
코멘트는 맨 아래에서.
<외고 유학반 성적표는 어떻게 부풀려지는가>
<How Korean FL high schools inflate their grades>
[한겨레] “미국 대학에 제출하는 내신성적은 모두 올 에이(All A)다. 미국 기준에서 보면 비윤리적으로 대학에 들어가는 것과 다름없다.”
[The Hankyoreh] “Every transcript sent to American universities have all As. By American standards, it is a corrupt method to get into a school.”
최근 한 유학업계 관계자가 <한겨레21>에 두툼한 문건을 들고 찾아왔다. 그가 들고 온 것은 2000년대 중반 한 외국어고가 미국 대학들에 보낸 입학 관련 서류. 영문으로 번역된 여러 학생의 성적표에 기재된 수십 개의 과목은 모두 A로 도배돼 있었다.
Recently, a study-abroad industry agent brought an extensive document to The Hankyoreh. The papers were the application forms that an FL high school submitted to American universities in 2000. In the English-translated version, every student had straight As on their transcripts.
학교와 학부모가 성적 기준을 협의?
Did the school and the parents make an agreement over the grading scales?
어떻게 이럴 수 있을까. 그의 설명은 “일부 고교가 법적으로 규정된 한국 성적표와 다른 양식의 성적표를 만들어 미국에 제출한다”는 것이었다. <한겨레21>은 이러한 관행이 일반화된 것인지, 유학반이 설치된 외국어고를 중심으로 여러 경로를 통해 영문 성적표를 입수하기 시작했다.
How could this happen? The agent explained, “some high schools submit transcripts that do not follow the transcript regulations in Korea.” The Hankyoreh decided to find out whether such fabrications were a common pratice, and started an investigation of FL high schools by collecting the English-version transcripts they sent to American universities.
그러던 중 취재진은 서울 강동구 한영외고의 1학년 유학반 학부모들 사이에 오간 메일들을 보게 됐다. 주로 OSP(유학반) 6기 운영위원회(학부모회)의 운영위원 송아무개씨가 일부 학부모들에게 보낸 메일들이었다. 송씨는 4월27일 ‘학부모 결의서 검토 바랍니다’라는 제목으로 14명의 1학년 학부모에게 메일을 보냈다. 그는 “토요일(29일) 저녁 강남•서초•송파•강북 학부모 모임에서 채택 여부를 결정할 학부모 결의서”라며 “수정 의견을 알려달라”고 했다. ‘한영 OSP 학부모들의 결의서’라는 이름의 이 결의서는 △원반 수업(정규 수업) 비중을 종전 4, 5기(2~3학년) 수준으로 감축하고 영어와 AP(미국 대학과목 학점 선이수 제도) 수업 시간을 대폭 늘려야 한다 △학교는 CMS 계좌이체 방식으로 (유학반) 강사료를 징수하려는 시도를 중단하고, 학부모들이 자율적으로 강사료를 징수해 강사들에게 지급하는 것을 허용해야 한다는 등의 요구 사항을 담고 있다.
Soon after the investigation started, the reporters found e-mails that were exchanged between the parents of Hanyoung FL high school students. Most of the e-mails were written by Ms. Song, the administrator of the Parents&Students Association of the OSP (Overseas Study Program, a specialized class for students planning to apply to foreign universities) class. On April 27th, Ms. Song sent an e-mail with the title “please review the parents’s resolution” to fourteen other parents. In the e-mail, she said, “this is the resolution we will discuss on Saturday in a meeting with parents from Kangnam/Seocho/Songpa/Kangbuk districts of Seoul” and asked if other parents had any comments. The resolution, called “The resolution of OSP parents,” included the following demands to the Hanyoung FL high school: △The regular curriculum (the curriculum that all Korean high school students must take in order to obtain a high school diploma) of the 1st grade students must be shortened so the school can put more e emphasis on AP classes and English education △ The school must stop the attempts to collect money by electronic transfers and let the parents voluntarily collect money to pay the instructors.
4월29일 서울 강남구 타워팰리스 연회장에서 열린 1학년 학부모 모임에선 이와 같은 일부 학부모들의 ‘결의’ 내용이 설명됐다. 당시 학부모 모임에 참석한 한 학부모는 “송씨 등 운영위원들이 결의서와 같은 내용을 주장했다”며 “이 같은 내용을 5월3일 학교장에게 요구하겠다며 학부모들로부터 서명을 받았다”고 말했다.
At the PSA meeting held in April 29th, these articles or the ‘resolution’ were presented to other parents. One parent at the meeting said, “Ms. Song and other PSA administrators drafted the resolution.” She also added, “they already obtained the signatures of parents and will make their demands to the principal of on May 3rd.”
5월3일 학부모와 학교장은 모임을 가졌다. 무슨 말이 오갔을까. 송씨가 7월2일 운영위원들을 대표해 9명의 학부모에게 보낸 메일을 보면, 학교로부터 다음과 같은 약속을 받았다고 밝히고 있다. △GPA(미국 대학 제출용 내신성적)에 관해 미국 대학 입시에 꼭 필요한 일부 과목만 A•B•C로 표시하고 나머지는 Pass/Fail로 표시하되, 어떤 과목을 그렇게 할 수 있는지는 ○○○ 선생님의 자문을 받아 정하도록 하겠다 △수행평가만 완수해도 60점을 부여하고, 시험성적을 포함해 70점이 되면 A가 되도록 하겠으며, 수행평가 역시 수업시간 내에 완료할 수 있는 분량으로 실시하도록 하겠다 △원반(정규) 수업은 가급적 오전에 배치하고 오후에 영어를 집중 배치하며, 영어수업과 AP수업을 강화하겠다….
The parents and the principal met on May 3rd. What could they have discussed? According to the e-mail Ms. Song sent to 9 other parents on July 2nd, the school promised to make following changes to their curriculum and grading standards: △ On the transcripts sent to American universities, the letter grades (A/B/C) will be replaced by Pass/Fail grades for all courses except the core curriculum credits required for college application. △ Any student who completes his PAs (Performance Assessment: homework, projects) will automatically receive 60% of the grades, and any grades over a 70% will be given an A. In addition, the PA would be short enough to be finished in-class. △ The regular curriculum will be moved to the morning, and the afternoon class hours will be used to teach more English and AP classes…
국문과 영문 성적표의 내용 달라
The discrepancy between Korean and English versions of transcripts
하지만 당시 유학반 관리를 담당했던 부장교사는 이에 반대한 것으로 전해진다. 메일은 이렇게 전한다. “지난 6월8일 운영위원회에서 국제부장님은 ‘영문성적증명서 성적등급 부여 규정 변경안’을 제시하고, 종전에 50~70점 미만은 A-, 70점 이상이면 모두 A를 주던 것을 70점 이상은 A-, 80점 이상은 A, 90점 이상은 A+를 주는 것으로 등급을 변경할 계획임을 밝혔습니다.”
But the teacher of the OSP class disagreed. In, one of her e-mails, Ms. Song said: “At the last meeting on June 8th, the teacher of OSP class proposed a ‘new grading scale for English transcripts,’” which changed the previous scale (50~70%=A-, 70% and up=A) to a higher scale (70~80%=A-, 80~90%=A, 90% and up=A+),
송씨의 메일에 따르면 국제부장이 이를 반대한 이유는 “A등급이 너무 많아” 조정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송씨 등 일부 학부모들의 시각은 달랐다. 이들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한영외고 성적표의 신뢰를 회복한답시고 A- 또는 B가 몇 개씩 들어 있는 성적표가 양산될 수 있도록 등급을 변경하는 것은 우리 학생들에게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을 들어 변경안에 반대했습니다.”
According to the e-mails, the teacher proposed a new grading scale because the current scale gave out “too many As” and the grading scales had to be adjusted. The parents, however, disagreed. They said, “letting Bs and A-s show up on the transcripts just to restore the credibility of the grades isn’t going to help our students, so we opposed the proposal.”
송씨는 “(결국) 70점 이상은 A를 주고 내신 우수자에게 A honor를 주기로 (학교와) 의견을 모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런 합의는 다시 파기된 것으로 보인다. 송씨는 “GPA 변경 문제는 토론 끝에 정리되고 결정된 사항”임에도 “6월24일 학부모 모임에서 다시 (학교 쪽에 의해) 등급 변경안이 제시되고 변경의 필요성이 역설되는 것을 보고 어안이 벙벙했다”고 적었다.
Ms. Song said, “we finally agreed on the new scale which gives an A to grades over 70% and an A honor to exceptional students,” but it seems like this agreement did not last long. “Although we had settled the matter in lengthy debates, the school brought up the GPA problem again on June 24th and argued the grading scales must be readjusted, which made me very upset,” Ms. Song wrote.
학교와 학부모가 내신 성적 산정 기준을 놓고 협의해도 되는 걸까. 한 학부모는 심지어 1학년 학부모들이 인터넷 카페에서 내신성적 산정 기준을 두고 투표까지 벌인 ‘희귀한 광경’이 연출됐다고 털어놨다. “70점 이상 A를 1번, 75점 이상 A를 2번, 80점 이상 A를 3번으로 하고 투표를 했어요. 나는 3번에 투표했는데… 1번이 과반수 득표를 했지요.”
Should schools and parents be allowed to make such agreements over grading scales? One parent recalls an occasion when the parents ‘voted’ on what the new scale should be. “There were three choices: #1 was for an A for grades over 70%, #2 for over 75%, and #3 over 80%. I voted for #3, but the majority went for #1.”
한영외고의 이런 소동은 외국어고 유학반의 내신성적이 어떤 방식으로 부풀려지는지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한영외고에서는 똑같은 시험을 치렀는데도, 국문 성적표와 영문 성적표의 내용이 다르다. 이를테면 70점을 받은 학생은 한국 대학에 보내는 국문 성적표에서는 ‘미’를 받지만, 미국 대학에 보내는 영문 성적표에선 A를 받는다.
The heated dispute over grades in Hanyoung FL high school is a glaring example of grade inflations in the Korean FL high schools. In Hanyoung, the Korean and English transcripts show different grades for the exact same test. A 70% on an exam, for example, is a ‘Mi’ (the Korean equivalent of ‘C’) on transcripts sent to Korean universities, but an ‘A’ on English transcripts sent to American universities.
취재진은 이에 대한 해명을 듣기 위해 11월20일 당사자인 장두수 전 교장과 통화했다. 그는 “나는 2005년부터 교장을 맡았고, 그동안 70점 이상에게 A를 주는 것은 관례였다”며 “학부모들의 요청에 따라 관례대로 한 것”이라고 대답했다. 그리고 등급 기준에 대해서는 “이전 성적관리위원회에서 결정한 문제”라며 “등급 변경안도 올라왔으나 성적관리위원회에서 통과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취재진은 한영외고에 성적관리위원회 회의록을 보여줄 것을 요청했으나, 한영외고는 공개할 수 없다고 대답했다.
To hear an explanation for such grade inflations, reporters called Chang Du Su, the ex-principal of Hanyoung FL high school. Over the phone, Mr.Chang said, “I was the principal since 2005, and it was a custom to give an A for over 70%.” He also added, “I merely conformed to the parents’s demands and followed the custom.” About the grading scales, he said: “It was decided by the Grades Administration Council. There were proposals for scale adjustments, but the council never passed them.” Reporters asked the Hanyoung FL school to disclose the proceedings of the council, and the school refused.
그렇다면 이런 ‘인플레이션 성적표’를 미국 대학에 보내는 건 과연 문제가 없을까. 교육부는 “절대 안 된다”고 말하고 있다. 장미숙 교육부 초중등교육정책과 연구사는 “모든 성적표는 ‘학교 생활기록부 작성 및 관리 지침’에 따라 작성돼야 하며, 교육부가 내놓은 영문 성적표 시안도 따로 마련돼 있다”며 “한국 성적표 표기 방식과 똑같이 번역돼 작성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성적관리위원회에서 70점 이상을 A로 주라고 결정했더라도, 이는 학교의 명백한 월권”이라고 지적했다. 영문 성적표라 하더라도, 성적표 양식이나 내신 성적 산정 기준을 학교 맘대로 바꾸면 안 된다는 얘기다.
Then is it okay to send transcripts with “inflated grades” to American universities?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says, “never.” Chang Mi Suk, an education policies researcher in the Ministry of Education, says: “all transcripts must be written in accordance to the ‘regulations for writing and managing school transcripts,’ and the government has issued a complete set of regulations for English transcripts. There should be no discrepancy between Korean and English transcripts, and the decision to give an A for all grades over 70% is a clear stretch of authority.” In other words, the individual schools cannot arbitrarily change its grading scales, regardless of the language the transcript is written in.
AP 과목 수강 성적도 수상해
AP courses grades are also suspicious
학부모 모임을 주도한 송씨는 11월24일 인터뷰에서 “유학에 밝은 학부모들이 다른 학교들도 다 그렇게 한다고 해서 학부모들을 대표해 학교장에게 요청한 것”이라며 “학교 쪽으로부터도 내신성적 기준은 학교에서 정하는 것이라는 말을 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A-, A, A+로 세분화하는 학교의 성적 등급 변경안에 대해서는 이렇게 말했다. “학교 쪽은 기존 시스템(70점 이상 A)은 ‘일부 우수한 학생들이 피해를 본다’고 말했습니다. 그 말은 일부 우수한 학생들의 피해를 구제하기 위해서 나머지 우수하지 않은 학생들은 피해를 봐야 한다는 거잖아요. 어떻게 이런 이유로 변경합니까?”
In an interview held on November 24th, Ms. Song said, “I’ve heard that all the other schools are doing the same. I represented the demands of other parents and made it clear to the principal. I heard from the administration that they can set the grading scales as they see it fit.” About the school’s suggestion of dividing the A grade into A-, A, and A+, she replied, “the school said that the current system (giving the same ‘A’s to all grades over 70%) “puts exceptional students at a disadvantage.” That means the unexceptional students should be sacrificed in order to let the exceptional ones have distinction. How can you accept that?”
교육부는 영문 성적증명서를 발급할 때 규정 양식을 따르도록 하고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성적표를 고교가 자체 작성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영문 성적표의 임의 수정을 금지하는 내용의 공문을 지속적으로 시•도교육청에 보냈다.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dictates that every English transcript must follow the official format and regulations. A government official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said, “high schools should not issue transcripts independently.” The Ministry of Education had continuously issued official documents forbidding arbitrary changes to the information on English transcripts.
교육부에 따르면, 영문 성적표는 과목 성적과 함께 석차 비율이 표시된 1~9등급으로 표기해야 한다. 3학년의 경우 수(Su•90~100점), 우(Wu•80~89점), 미(Mi•70~79저), 양(Yang•60~69점), 가(Ga•60점 이하)와 함께 학년 석차가 병기돼야 한다. 그러나 공문 발송뿐이었다. 공신력이 높아야 할 공교육 기관의 성적표가 임의 수정돼 미국의 유명 대학에 보내지는 사이 교육부는 몇 차례 공문을 보내는 것 외에 아무 일도 하지 않았다.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English transcripts must include the grades for each courses and the class standing of the student. For high school seniors, the transcripts must show the grades in one of the five letters—Su (90~100%), Wu (80~89%), Mi (70~79%), Yang (60~69%), Ga (60% and below)—and the class rank. The Ministry of Education, however, merely sent out the official documents and did nothing enforce the regulations, while the schools kept sending out transcripts with altered grades.
취재진은 또 경기 고양외고가 미국 대학에 지원하는 학생에겐 80점 이상에 A를 매긴 성적표를 발급하는 사실을 발견했다. 고양외고 관계자는 10월25일 취재진에게 이렇게 말했다. “학교 내규에 따라 80점 이상부터 A를 주고 있습니다. 성적 부풀리기가 아닙니다. 외국어고는 학생들이 우수하니까 그렇게 줄 수 있지 않습니까?”
The reporters also found out that the Goyang FL high school in Kyoungi-do, Korea, gave an A for any student who had grades over 80%. On October 25th, an official from Goyang said, “we follow our own regulation and give ‘A’s to grades over 80%. It is not a grade inflation. Since we have outstanding students in FL high schools, doesn’t it only make sense to give them better grades?”
11월22일 방문한 한영외고도 “70점을 A로 줘서 보낸다”고 떳떳이 말하고 있었다. 장 전 교장을 이어 교장직을 수행하고 있는 김종인 교장 대행은 “기존 방침을 갑자기 바꿀 순 없지 않느냐”며 “현재 미국 대학에 입학원서를 쓰고 있는 3학년은 70점 이상에 A를 줘서 보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취재진에게 “다른 학교도 알아보라. 이들도 한영외고와 똑같이 주고 있다”고 덧붙였다.
When the reporters visited the Hanyoung FL high school on November 22nd, the school officials also openly admitted that they “give ‘A’s for grades over 70%.” Kim Jong In, the current principal of the school, said, “we can’t change our policies so quickly. For the seniors applying to U.S. colleges, we’re giving an A for 70% and up.” He also told the reporters, “go and ask other schools. They’re also doing the same thing we’re doing here in Hanyoung.”
김 교장대행의 말대로 외국어고의 내신 부풀리기 관행은 상당수 외국어고에 퍼져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서울외고 김성태 교감은 “예전에는 영문 성적표 등에서 문제가 있었지만, 지난해 서울시교육청 감사 뒤 바로잡았다”고 말했다. 한 유학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내신 성적을 부풀려 미국 대학에 발송하는 건 공공연한 비밀”이라고 말했다.
Indeed, the grade inflation practices seem to be prevalent among many FL high schools. Kim Sung Tae, the vice principal of Seoul FL high school, said, “we had some problems with the English transcripts before, but we corrected them after we had inspections from the Seoul Office of Education.” One informant from the study-abroad industry said, “It’s a known secret that these schools inflate the grades they send to American universities.”
‘성적 부풀리기’가 없더라도 2학년, 3학년으로 학년이 높아질수록 정규수업에 제대로 참석조차 하지 않는 외국어고 유학반 학생들에게 한국에서의 정규교육을 ‘정상적’으로 이수했다는 증명서인 ‘성적표’를 버젓이 발급해주는 것은 근본적으로 되짚어봐야 할 문제다.
Even without grade inflations, it is still a serious problem that the schools issue transcripts, the certificate that the student successfully completed a formal education in Korea, to the OSP students who seldom show up in regular curriculum classes.
외국어고 유학반은 미국 대학 입시에 필요한 과목과 함께 AP 과목을 개설해 가르치기도 한다. AP 과목 수강 성적이 미국 대학 전형에 유리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학생들은 미국 대학에 지망할 때, 한국 성적표와 함께 미국 교육과정 과목과 AP 과목을 수강한 성적이 산출된 ‘유학반 성적표’를 함께 제출하기도 한다. 그러나 유학반 성적표도 고평가돼 있기는 마찬가지다. 한영외고 유학반 카운슬러 김아무개씨는 유학반 성적표에 대해 “각 과목 강사들이 기준을 정해 자율적으로 성적을 산출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 학교에서 올해 미국 대학에 지원하는 학생 가운데 유학반 성적표에 ‘C’를 받은 학생은 2명뿐이고, 나머지는 모두 전 과목에서 ‘A’와 ‘B’를 받았다고 밝혔다.
In addition to the core curriculum required for application to American universities, the FL high schools also offer AP classes to let the students have an extra edge in the application process. When the students apply to American universities, the schools issue a separate “OSP students transcript” which accounts for the weighted grades of AP classes. These OSP transcripts, however, are just as overrated as the regular ones. A counselor of the Hanyoung’s OSP class said, “the AP class teachers set their own grading scales to determine the grades.” He also told the reporters that, of all the students that applied to U.S. colleges this year, only two had any ‘C’s on their transcripts.
새로운 형태의 ‘대학 입시 애국주의’
A new form of “college admission patriotism”
하지만 한 외국어고의 학부모는 “유학반 성적표 또한 조작이 비일비재하다”고 말했다. 정규 성적표가 아닌 AP 성적표에서 수강하지도 않은 과목을 수강했다고 하거나, 미국 고교 과목이나 AP 성적을 임의로 올려준 적도 있다는 것이다. 결국 외국어고 유학반에서 미국 대학에 응시하는 학생들 상당수는 나란히 부풀려진 정규 성적표와 유학반 성적표를 미국 대학에 제출하고 있는 셈이다.
A parent of an FL high school student said, “the OSP transcripts are regularly fabricated.” In some cases, the OSP transcripts show credits for AP classes that the student had never taken, or the grade is raised by the school officials. As a result, many FL high school students submit two separate transcripts that are both inflated.
외국어고가 유학을 위해 쓰는 편법은 성적표 변경 외에도 다양하다. 서울시교육청이 지난 10월 실시한 서울 소재 5개 외국어고 유학반 운영 특별장학지도 결과를 보면, 서울•이화•한영외고는 AP 시험을 보는 학생들에게 공결 처리를 해주고, 심지어 중간고사를 면제해주기까지 했다.
Besides grade inflations, there are various other methods the FL high schools use to give unfair advantages to its OSP students. The students taking the AP exams, for example, are not only excused from their classes, but also entirely exempted from their midterm exams.
하지만 취재진이 취재 도중 일부 학부모나 교사들에게 접한 반응은 “아이들을 아이비리그 대학에 보내 국위선양하는데, 이 정도 편의는 줘야 하는 것 아니냐” “외국어고는 우수 학생들이 모인 집단이므로 내신성적에서 이점을 줘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는 새로운 형태의 ‘대학 입시 애국주의’라고 할 만했다. 주목할 점은 이런 대학 입시 애국주의가 한국 사회의 부유층에 만연해 있다는 것이다.
But when the reporters interviewed the parents and teachers of these students, some responded with comments like, “Since we do good for the country by sending our children to Ivies, aren’t we entitled to such special treatments?,” or, “The FL high school students deserve an advantage in GPA since they are smarter than regular high school students,” and these responses indicate that a new form of “college admission patriotism” is prevalent among the upper class in Korea.
현재 한국 ‘이너서클’의 대물림은 외국어고를 통해 이뤄진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이너서클의 일부 자녀들은 외국어고 유학반에서 ‘편법’으로 미국 대학으로 유학을 가고, 그들은 다시 한국을 짊어질 ‘엘리트’로 ‘금의환향’한다. 또한 그들에게 외국어고는 미국 대학으로 향하는 완벽한 디딤돌이며 더불어 명문고 인맥을 쌓는 네트워크 장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런 순환체계 속에서 교육의 가치는 실종된다.
Nowadays, the Korean FL high schools are used as a tool for the inheritance of privileged membership in the “inner circle” of the Korean upper class. The children of this “inner circle” attend FL high schools in the OSP classes, use ‘expedients’ to gain admission from American universities, and return to Korea as the ‘elite’ class, the prospective leaders of the nation. To them, the FL high schools provide not only an ideal pathway to U.S. colleges, but also a social arena in which they can form extensive network with their fellow ‘elites’ in the inner circle. In this cycle, the value of education is utterly lost.
교육부는 11월9일 유학반 편법 운영이 드러나면 법적•행정적 제재 등 강력한 조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교육부 관계자는 11월23일 “외국어고를 불시에 방문해 관련 실태조사를 벌이고, 영문 성적표도 문제점이 드러나면 행정 조처를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 11월23~24일 경기 과천과 성남에서 모인 전국외국어고 교장단도 이에 화답하듯 “유학반을 정규 외 수업 시간에 운영하는 등 교육 과정을 정상적으로 운영토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과연 이 약속은 지켜질 수 있을까. 수직으로 위계화된 학벌사회에서 서울대를 넘어 미국으로 향한 ‘교육열’이, 다만 한국의 교육제도에 대해 최소한의 예의를 갖춰주기를 바랄 뿐이다.
On November 9th, the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that it will employ firm measures if the OSP classes had been violating the Ministry’s regulations. On November 23rd, a government official said, “we will conduct surprise inspections at the FL high schools and will take administrative action if we find problems with the English transcripts.” As if in response, the principals announced at a national conference that “we will normalize our schools’ education by moving the OSP classes out of the regular curriculum” on November 23rd. Would they keep their word? We can only hope that they will have at least a marginal respect for the Korean education system while they seek a prestigious education abroad.
글•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 박주희 한겨레 온라인뉴스팀 기자 hope@hani.co.kr 사진 윤운식 기자 yws@hani.co.kr
Nam Jong Young Reporter fandg@hani.co.kr Park Ju Hee The Hankyoreh Online NewsTeam Reporter hope@hani.co.kr Photos Yoon Un Sik Reporter yws@hani.co.kr
‘성적 거품’이 생기는 이유
아이비리그가 원하는 내신성적을 위해선 정규수업 무시해야
Why the “grade bubbles” form
Students have to neglect formal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GPA Ivies want
대원외고 149명, 대일외고 46명, 한영외고 30명, 서울외고 23명, 이화외고 6명.
149 from Daewon FL high school, 46 from Daeil FL high school, 30 from Hanyoung FL high school, 23 from Seoul FL high school, 6 from Ewha FL high school.
지난 3년 동안 서울 소재 외국어고 유학반의 ‘유학 실적’이다(서울시교육청 국정감사 자료). 유학반이 정규 운영되지 않은 학교까지 합치면 실적은 더 많아진다. 사실 법적으로 규정한 제7차 교육과정을 ‘충실히’ 이행하면서 미국 명문대학에 입학하려면 대단한 천재가 아니라면 팔방미인형 노력가가 돼야 한다. 미국 유명 대학이 요구하는 게 그만큼 방대하기 때문이다.
These are the ‘statistics’ of the students who graduated from FL high schools and got admitted to American universities. If you include the schools that do not offer a separate OSP class, the numbers grow even larger. In reality, however, students have to be either a genius or extremely hard-working to ‘successfully’ complete the Korean high school education AND gain admission to top U.S. colleges, because the prestigious universities ask for a wide range of different qualifications.
일단 SAT와 SATⅡ의 고득점이 필요하다. 이외에 추가되는 것이 AP다. AP는 미국 대학 과목 선이수 제도로 고교에서 미리 대학 과목 강의를 듣는 것이다. 일부 외국어고 유학반은 자체적으로 수업을 개설해 평점을 주고 있다. 그리고 미국에서 주관하는 AP 시험도 친다. AP는 필수사항이 아니지만, 최대한 많은 시험성적과 서류를 들이대며 경쟁을 뚫어야 하는 학생 처지에선 AP 공부도 하게 마련이다. 학생들은 이런 수험 준비 외에도 다양한 과외활동에 참여해야 한다.
First, you have to get high scores in SAT reasoning and subject tests. In addition, you also need to take AP courses, the advanced placement classes which teach various subjects at college freshmen level. Some FL high schools offer AP classes and exams to their OSP students. Although AP courses are not required, they definitely help gaining admission in an ultra-competitive applicant pool. Besides these tests and classes, students also participate in various extracurricular activities.
내신성적도 매우 중요하다. 아이비리그에 입학하는 미국 학생들은 내신성적이 우수하다. 문제는 여기서 발생한다. 미국 고교생으로선 내신성적 공부가 곧 SAT 시험과 직결되지만, 한국 고교생에게는 그렇지 않다. 따라서 한국 학생들이 정작 정규수업을 무시하는 부작용이 생긴다. 서울에 있는 한 외국어고 유학반 학생은 “반에서 10명 정도는 지각을 하거나 (유학반 수업이 있는) 오후에 학교에 온다”고 말했다. 이 학생은 다른 학생들이 모의고사를 치르는 날, 혼자 교실에서 SAT 문제집과 씨름하고 있었다.
The students admitted to Ivies have excellent academic records, and GPA is also very important for a successful application. This, however, is a source of problem: unlike American high schools, which teach subjects directly relevant to SAT preparation, Korean high school courses are largely unrelated to SATs, which makes the Korean students neglect the regular school curriculum. A student in an OSP class of an FL high school in Seoul said, “about 10 students are late to school every day, and they often only attend the OSP classes in the afternoon.” When other students were busy taking exams, this student was solving SAT practice problems in an empty classroom.
외국어고 유학반은 그동안 비공식적으로 학부모들에 의해 운영되다가, 2005년부터 각 시•도 교육청 지침에 따라 학교가 관리하는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으로 전환됐다. 이에 따라 학부모와 학교의 유학반 통제권을 두고 여러 학교에서 마찰이 생기기도 했다. 김대용 대일외고 교감은 “유학반이 일부 학교의 교육과정에 문제를 일으킨 게 사실”이라며 “유학반 수요가 엄연히 있다면, 국공립 수준에서 시범학교를 운영해 모범을 보여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The OSP classes had been run unofficially by parents until 2005, when the Offices of Education took over and converted them into official after-school programs. As a result, parents and administrations struggled to gain control over the OSP classes. Kim Dae yong, the vice principal of Daeil FL highschool, said, “Although it is true that OSP created problems in some schools, there is an undeniable demand for the OSP classes, and I hope the government could show an example by running a public FL high school.”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
Nam Jong Young Reporter fandg@hani.co.kr
============================================
- 익히 알고는 있었지만, 그래도 한국인(특히 엄마) 특유의 저돌성은 대단.
(원칙이고 페어플레이고 없다.)
- 한국사람 누군가가 저 기사 내용를 (영어로 직접 번역해서) 자비로 외국 유수대학들에게
우편으로 보냈다니 감탄. 정의감의 발현인가 단순히 배가 아픈것인가,
그도 아니면 청년실업의 위력인가.
- 저런 틈바구니에서 나름 노력하고 있는 집사람&딸내미가 안쓰러울 뿐.
(오늘부터라도 투덜대지 말고 왕수학 채점이라도 잘 해 줘야 겠다.)